브루스 바움가트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스 바움가트너는 미국의 레슬링 선수로, 올림픽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포함하여 총 4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번 우승했으며, 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NCAA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1번 우승하고, 제임스 E. 설리번 상을 수상했다. 그는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8년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운동 명예의 전당, 2003년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 명예의 전당, 2008년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알레한드로 푸에르토
- 1983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다니엘 아세베스
다니엘 아세베스는 정보 부족으로 내용 보강이 필요한 문서이다. -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엑토르 밀리안
-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알레한드로 푸에르토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엑토르 밀리안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필리베르토 아스쿠이
브루스 바움가트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Bruce Robert Baumgartner |
출생일 | 1960년 11월 2일 |
출생지 | 미국 뉴저지주 헤일던 |
신장 | 185cm |
체중 | 126kg |
국적 | 미국 |
소속팀 | 미국 |
대학팀 |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
클럽 | 뉴욕 애슬레틱 클럽 |
스포츠 | 레슬링 |
종목 | 자유형 및 폴크스타일 |
코치 | 댄 게이블, 브루스 버넷 |
올림픽 메달 | |
1984 로스앤젤레스 | +100 kg 금메달 |
1992 바르셀로나 | 130 kg 금메달 |
1988 서울 | 130 kg 은메달 |
1996 애틀랜타 | 130 kg 동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1986 부다페스트 | 130 kg 금메달 |
1993 토론토 | 130 kg 금메달 |
1995 애틀랜타 | 130 kg 금메달 |
1989 마르티니 | 130 kg 은메달 |
1990 도쿄 | 130 kg 은메달 |
1994 이스탄불 | 130 kg 은메달 |
1983 키예프 | +100 kg 동메달 |
1985 부다페스트 | 130 kg 동메달 |
1987 클레르몽페랑 | 130 kg 동메달 |
굿윌 게임 메달 | |
1986 모스크바 | +100 kg 금메달 |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 | |
1981 부쿠레슈티 | +100 kg 금메달 |
팬아메리칸 게임 메달 | |
1987 인디애나폴리스 | 130 kg 금메달 |
1991 아바나 | 130 kg 금메달 |
1995 마르델플라타 | 130 kg 금메달 |
1983 카라카스 | 130 kg 은메달 |
팬아메리카 레슬링 선수권 대회 메달 | |
1987 인디애나폴리스 | 130 kg 금메달 |
1988 멕시코시티 | 130 kg 금메달 |
1989 콜로라도스프링스 | 130 kg 금메달 |
NCAA 디비전 I 선수권 대회 메달 (대학 레슬링) | |
1982 에임스 | 헤비급 금메달 |
1981 프린스턴 | 헤비급 은메달 |
1980 코밸리스 | 헤비급 은메달 |
2. 선수 경력
바움가트너는 역대 가장 뛰어난 미국 레슬러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또한 범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월드컵에서 금메달 7개, 은메달 5개를 획득했다. 이외에도 NCAA 타이틀 1개(준우승 2회), 올림픽 페스티벌 타이틀 4개, AAU 내셔널 타이틀 2개, 주니어 내셔널 타이틀 1개를 획득하는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다. 그는 뉴욕 육상 클럽의 후원을 받았다.[1]
2. 1.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바움가트너는 뉴저지주 헤일던에서 태어나 맨체스터 지역 고등학교를 다녔다. 고등학교 시절 레슬링 팀에서 23승 무패를 기록했지만, 뉴저지 주 챔피언십 경기에서는 패배했다. 육상팀에서는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를 했으며, 포환던지기에서 여러 기록을 세웠다.인디애나 주립 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4년간 대학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종종 올림픽 체조 선수인 커트 토마스와 함께 훈련했다. 대학교 2학년과 3학년 때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4학년 때인 1982년 NCAA 전국 챔피언이 되어 44승 무패 시즌을 마쳤다. 그의 대학 통산 기록은 134승 12패, 73번의 폴승이다. 1995년에는 미국 최고의 아마추어 운동 선수에게 수여되는 제임스 E. 설리번 상을 아마추어 육상 연맹으로부터 받았다.
2. 2. 국제 대회 경력
바움가트너는 10년 이상 슈퍼 헤비급 자유형 레슬러 중 최고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혔다. 1983년에 첫 번째 세계 선수권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했고,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3개의 세계 타이틀 중 첫 번째를 거머쥐었다.서울에서 열린 두 번째 올림픽 결승에서 그는 조지아 출신 데이비드 고베지쉬빌리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4년 후인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재대결을 펼쳐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3년과 1995년에 세계 타이틀을 획득한 후, 바움가트너는 애틀랜타에서 세 번째 금메달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러시아의 안드레이 슈밀린에게 패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바움가트너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4개의 올림픽 메달을 보유하고 있다.[1]
2.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대회 | 장소 | 종목 | 순위 |
---|---|---|---|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 | Киев|키이우ru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84년 하계 올림픽 | Los Angeles|로스앤젤레스영어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Budapest|부다페스트hu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88년 하계 올림픽 | 서울|서울한국어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92년 하계 올림픽 | Barcelona|바르셀로나ca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 | Toronto|토론토영어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Atlanta|애틀랜타영어 | 자유형 슈퍼헤비급 | |
1996년 하계 올림픽 | Atlanta|애틀랜타영어 | 자유형 슈퍼헤비급 |
바움가트너는 세계 선수권 대회(3회)와 올림픽 타이틀(2회) 외에도, 범아메리카 게임에서 금메달 3개,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17개, 월드컵에서 8번 우승했다. NCAA 전국 선수권 대회 1회, NCAA 준우승 2회, AAU 전국 선수권 대회 2회, 주니어 전국 선수권 대회 1회도 기록했다.
바움가트너는 역대 가장 뛰어난 미국 레슬러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포함해 총 9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범아메리카 게임에서는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그 외에도 월드컵에서 금메달 7개, 은메달 5개를 포함해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4]
[1]
웹사이트
Jordan Burroughs is named a 2017 Comeback Wrestler of the Year by United World Wrestling
https://web.archive.[...]
3. 은퇴 이후
1998년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운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03년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는 그를 '기관의 위대한 인물'로 선정하고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 2008년에는 U.S.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002년 미국 레슬링 명예의 전당 공로 회원, 2003년 국제 레슬링 연맹 명예의 전당(FILA)에 헌액되었다.
4. 업적 및 평가
1983년 첫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했다.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3개의 세계 타이틀 중 첫 번째를 획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결승에서는 데이비드 고베지쉬빌리에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지만,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고베지쉬빌리를 꺾고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3년과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4]
바움가트너는 세계 선수권 대회 3회 우승, 올림픽 2회 우승 외에도 범아메리카 게임 금메달 3개, 미국 선수권 대회 17회 우승, 월드컵 8회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NCAA 전국 선수권 대회 1회 우승, NCAA 준우승 2회, AAU 전국 선수권 대회 2회 우승, 주니어 전국 선수권 대회 1회 우승이라는 화려한 기록을 남겼다.[4]
1995년에는 미국 최고의 아마추어 선수에게 수여되는 제임스 E. 설리번 상을 받았다. 1998년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운동 명예의 전당, 2003년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 명예의 전당, 2008년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002년에는 미국 레슬링 명예의 전당에, 2003년에는 국제 레슬링 연맹 명예의 전당(FILA)에 헌액되는 영예를 안았다.[4]
참조
[2]
웹사이트
Bruce Baumgartner Elected President Of USA Wrestling - FloWrestling
https://www.flowrest[...]
2023-10-03
[3]
웹사이트
Bruce Baumgartner profile
https://www.washingt[...]
2007-04-26
[4]
웹사이트
Wrestler Bruce Baumgartner to 18515
http://www.teamusa.o[...]
2016-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